정치사회 ||-행감초점-||한화복합휴양단지 조성 어디까지 왔나
페이지 정보
작성일 12-07-11 14:06 댓글 0본문
![]() |
지지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는 한화복합휴양단지가 행감의 도마에 올랐다.
박현일 의원과 송요찬 의원은 지난 10일 도시과를 상대로 한 행감에서 한화복합휴양단지의 추진과정에 대해 집중 질의했다.
이날 박 의원은 시민, 사회단체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해 환경부의 사전환경성 검토의 조속한 협의 유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고, 송 의원도 한화그룹 지도부의 정확한 의중 파악이 먼저라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이날 이금복 도시과장에게 한화복합휴양단지에 대한 추진과정에 대해 질의했다.
이에 이 과장은 “9,000만㎡ 규모의 한화복합휴양단지는 대부분의 시설 중 840 객실의 콘도가 차지하고 있다”며 “단계별로 나누어 하는 민간개발사업으로 2015년까지 1단계사업만 하는 것으로 계획돼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지난해 8월에 입안돼 같은 해 9월 주민의견 청취와 올해 들어 환경부차관 면담 등 관철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였지만 유역청의 사전환경성 검토가 9개월이 지나도록 지지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고 추진과정을 밝혔다.
이 과장은 또 “한화복합휴양단지의 가장 큰 현안은 사실상 환경성 검토로 현재 다각도인 방안을 모색하고 있지만 환경부 입장과 군의 입장의 견해차이가 있다”며 “내년 7월 총량제가 바뀌는 사례가 있기 때문에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박 의원은 “오총제 의무제 전환으로 인해 가장 기대가 큰 중핵적인 대상인 한화복합휴양단지가 정부의 딴지에 걸려 있다”며 “특수협과 양평 시민단체는 물론 군수와 정치권에서 나서 역량을 발휘하고 정부를 설득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등 한화 측과 정보를 공유해야 관철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이 과장은 “군도 군이지만 사실상 한화에서도 자체적으로 굉장히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환화 측과 정보를 서로 공유하고 있고 올해 하반기부터는 좀 더 한화 측과 정보공유를 공고히 하는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특히 송 의원도 “한화 측 지도부와 김승현 회장의 추진의지가 부족한 것이 문제”라고 지적하며 “현재 본부장 정도의 접촉만으로는 부족한 만큼 김승현 회장의 정확한 의중 파악이 먼저”라고 지적했다.
송 의원은 또 “올 하반기에는 한화 측 지도부와 회장 면담을 성사해 정확한 의중을 파악하고 사업 추진이 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해달라”고 주문했다.
/정영인기자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