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롯데마트’의 빗장을 풀어야 한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14-11-02 14:21 댓글 10본문
지난 8월 4일, 양평읍 인구가 3만명을 돌파했다. 읍승격 35년만이다. 전철과 아파트 건립, 그리고 도시이주민에 대한 특단의 행정서비스가 이뤄낸 결과이다. 인구유입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무엇보다 서둘러야 할 과제는 기본적인 도시인프라 구축이다.
소비자 각 개인의 사정이나 필요에 따라 쇼핑장소를 선택할 편의는 도시인프라의 기본이다. 때에 따라서 가까운 점포나 시장, 중대형마트를 이용할 수 있는 자유와 상품의 홍수 속에서 가격과 품질을 비교선택할 권리는 도시인프라의 기본 중에 기본이다. 시간과 돈, 현대도시생활의 2가지 핵심이 직결돼 있기 때문이다.
지금 버스터미널 앞 롯데마트 현장은 양평 현실에 대한 시위현장과 다름없다. 몇 개월이면 문을 열 수 있는 기본적 도시인프라가 1년 넘게 흉물로 버티고 있다. 일부 시장상인의 극렬한 반대와 양평군의 방관 속에 대다수 군민이 고대하는 ‘대형마트 개점’에 빗장이 걸려 있다.
일부 시장상인의 반대 이유는, 소규모 점포의 타격과 양평재화 재벌흡수로 압축된다. 그러나
‘롯데마트’로 인한 타격은 소규모점포가 걱정할 일이 아니라 기존의 중형마트들이 걱정할 일이다. 대부분의 소규모점포 주인들도 이에 동의하고 있다. 타지 원정쇼핑과 관내 브랜드 치킨이며 의류 등의 소비재 역시 따지고 보면 양평재화 재벌흡수이다. 더 따져들면 대한민국 재화 가운데 재벌에 흡수되지 않는 게 어디 있을까마는.
인터넷쇼핑이 보편화되고 해외직구가 트랜드로 떠오르는 시대이다. 좋든 싫든 소비시장에 울타리를 칠래야 칠 수 없는 시대이다. 소비자가 어떤 물건을 어디에서 살 것인가는 순전히 소비자의 선택에 맡겨야 한다. 양평만 대형마트를 거부한다는 것은 양평만 시대흐름에 역행하겠다는 소리이고, 롯데마트만 거부하면 대형마트의 양평진입을 봉쇄할 수 있다는 생각은 착각에 불과하다. 극렬한 반대로 얻을 수 있는 것은 단지 양평소비자의 원성을 키우는 것뿐이라는 사실을 직시해야 한다. 양평 모두의 이익인 도시인프라 구축에 걸림돌일 뿐이라는 자각이 시급하다.
‘롯데마트’는 양평입점에 사활을 걸고 있다. 다른 대형마트들이 깃발을 꽂기 전에 양평상권에 진입하기 위해 무진 애를 쓰고 있다. 최근 양평군에 제출한 ‘지역협력계획서’를 살펴보면 자못 파격적이다. 전국 롯데마트 109개 매장에서 양평쌀 654톤과 양평농산물 판매, 롯데마트 자체상품을 양평 중소기업에게 OEM 발주, 채용인원 약 300명 가운데 80% 이상을 지역민 우선 채용 등 솔깃한 제안이 가득하다. 어찌 보면 반대파들 덕분에 양평에 큰 도움이 되는 흥정이 진행되고 있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이제 양평군이 나서야 한다. 더 바짝 ‘롯데마트’를 압박해야 한다. 좀 더 좋은 조건을 제시할 수 있도록 채근해야 한다. 지방공사와 연계해 양평 특화상품 개발과 전국유통망 확보의 파트너로 삼아야 한다. ‘롯데마트’를 기업유치 차원에서 바라봐야 한다. 일시에 양평군민 240여명을 채용할 수 있는 일자리에 주목해야 하고, 양평군민의 편의증진을 실행해야 한다.
이제 양평군이 본격적으로 나서야 한다. 롯데마트와 일부상인의 갈등해소에 직접 개입해야 한다. 여태까지 그래왔듯이 전통시장의 관광상품자원화에 더욱 매진해야 할 것이며, 소상인에 대한 지원책을 강구해야 한다. 양평소비자의 원성이 더는 방치해둬도 좋을 수준이 아님을 심각하게 바라봐야 할 것이다.
소비자 각 개인의 사정이나 필요에 따라 쇼핑장소를 선택할 편의는 도시인프라의 기본이다. 때에 따라서 가까운 점포나 시장, 중대형마트를 이용할 수 있는 자유와 상품의 홍수 속에서 가격과 품질을 비교선택할 권리는 도시인프라의 기본 중에 기본이다. 시간과 돈, 현대도시생활의 2가지 핵심이 직결돼 있기 때문이다.
지금 버스터미널 앞 롯데마트 현장은 양평 현실에 대한 시위현장과 다름없다. 몇 개월이면 문을 열 수 있는 기본적 도시인프라가 1년 넘게 흉물로 버티고 있다. 일부 시장상인의 극렬한 반대와 양평군의 방관 속에 대다수 군민이 고대하는 ‘대형마트 개점’에 빗장이 걸려 있다.
일부 시장상인의 반대 이유는, 소규모 점포의 타격과 양평재화 재벌흡수로 압축된다. 그러나
‘롯데마트’로 인한 타격은 소규모점포가 걱정할 일이 아니라 기존의 중형마트들이 걱정할 일이다. 대부분의 소규모점포 주인들도 이에 동의하고 있다. 타지 원정쇼핑과 관내 브랜드 치킨이며 의류 등의 소비재 역시 따지고 보면 양평재화 재벌흡수이다. 더 따져들면 대한민국 재화 가운데 재벌에 흡수되지 않는 게 어디 있을까마는.
인터넷쇼핑이 보편화되고 해외직구가 트랜드로 떠오르는 시대이다. 좋든 싫든 소비시장에 울타리를 칠래야 칠 수 없는 시대이다. 소비자가 어떤 물건을 어디에서 살 것인가는 순전히 소비자의 선택에 맡겨야 한다. 양평만 대형마트를 거부한다는 것은 양평만 시대흐름에 역행하겠다는 소리이고, 롯데마트만 거부하면 대형마트의 양평진입을 봉쇄할 수 있다는 생각은 착각에 불과하다. 극렬한 반대로 얻을 수 있는 것은 단지 양평소비자의 원성을 키우는 것뿐이라는 사실을 직시해야 한다. 양평 모두의 이익인 도시인프라 구축에 걸림돌일 뿐이라는 자각이 시급하다.
‘롯데마트’는 양평입점에 사활을 걸고 있다. 다른 대형마트들이 깃발을 꽂기 전에 양평상권에 진입하기 위해 무진 애를 쓰고 있다. 최근 양평군에 제출한 ‘지역협력계획서’를 살펴보면 자못 파격적이다. 전국 롯데마트 109개 매장에서 양평쌀 654톤과 양평농산물 판매, 롯데마트 자체상품을 양평 중소기업에게 OEM 발주, 채용인원 약 300명 가운데 80% 이상을 지역민 우선 채용 등 솔깃한 제안이 가득하다. 어찌 보면 반대파들 덕분에 양평에 큰 도움이 되는 흥정이 진행되고 있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이제 양평군이 나서야 한다. 더 바짝 ‘롯데마트’를 압박해야 한다. 좀 더 좋은 조건을 제시할 수 있도록 채근해야 한다. 지방공사와 연계해 양평 특화상품 개발과 전국유통망 확보의 파트너로 삼아야 한다. ‘롯데마트’를 기업유치 차원에서 바라봐야 한다. 일시에 양평군민 240여명을 채용할 수 있는 일자리에 주목해야 하고, 양평군민의 편의증진을 실행해야 한다.
이제 양평군이 본격적으로 나서야 한다. 롯데마트와 일부상인의 갈등해소에 직접 개입해야 한다. 여태까지 그래왔듯이 전통시장의 관광상품자원화에 더욱 매진해야 할 것이며, 소상인에 대한 지원책을 강구해야 한다. 양평소비자의 원성이 더는 방치해둬도 좋을 수준이 아님을 심각하게 바라봐야 할 것이다.
댓글목록 10
지역주민님의 댓글
지역주민 작성일제생각으로는 농협하나로마트및남강마트.메가마트.D.c등 우리양평읍내 상권을가지고있는 마트들은 절대로롯데마트에비해 경쟁력이 더있다고생각하지요.재래시장또한 그렇지요. 우리양평군및대부분서민들이 많이 있지요.이렇한구조에서는 대형마트가 힘을발휘하기 힘든구조입니다. 그리고 지하철이 있기때문에 많은사람들이 서울이나대도시로쇼핑갈것 입니다. 롯데마트가 우리양평읍내에서 많은돈을 벌어가기는 힘들것 같습니다. 양평농협 하나로마트는 농민들및서민들로부터는 대단한 혈맹관계라고생각 합니다. 농협은 삼성이나롯데같은 대기업과도 경쟁력이있지요.자산도 농협이 삼성가 맞먹은수준 일것입니다. 그러나 농협은 농민들이출자해서 생긴 곳입니다. 농민들이 최대주주 입니다. 농민또한 농협은 형제라고생각 하지요.
맞고요님의 댓글
맞고요 작성일당장 개점해야한다. 흉물을 보고만 있는 답답한군청
이제는 촌구석에서 벗어나자
원정쇼핑,인터넷쇼핑,배달쇼핑-양평에서는 안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