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평군, 지방공기업 설립 가시화
정치사회
페이지 정보
본문
- 22일, 양평지방공사(가칭) 설립 용역 최종보고회 개최 -
양평군의 지방공기업 설립이 가시화 되고 있다.
양평군은 22일 별관4층 소회의실에서 김선교 양평군수를 비롯한 군 관계자, 용역 기관인 한국산업관계연구원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양평지방공사(가칭)설립에 따른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한국산업관계연구원은 이날 양평군 지방공기업 설립 타당성 검토 연구용역보고서를 통해 “사업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가장 용이한 지방공사형(농산물유통사업+시설관리사업)으로 선정하고 시설관리사업은 향후 수익분석을 통해 단계별로 공사에 편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또한 “적정한 운영조직은 지방공기업 설립·운영지침(행정자치부)을 기준으로 해야 한다”며 “기능이 유사한 부서의 중복을 지양하고 지원부서의 최소화와 현장 사업부서의 활성화에 주안점을 둔 팀(Team)제 운영 등 경영관리본부, 유통사업본부, 시설관리본부 운영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더욱이 “공기업 설립을 통한 업무의 위탁이 행정규모와 영향력의 축소로 부정적 의견이 있을 수 있다”며 “하지만 업무의 민간위탁을 통한 행정조직의 축소는 무한경쟁시대를 살아가는 현실적 요청이며 재정자립도 제고를 위한 선결과제”라고 강조했다.
이에 김선교 양평군수는 “효율적인 경영을 통해 공익성과 수익성을 조화시킬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인 경영모델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경험과 능력이 있는 CEO 확보를 통해 책임경영체제를 확립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며 “사장경영계약제를 통해 매년 경영실적을 평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양평지방공사(가칭)설립은 현재 군 직영의 문화, 복지, 관광시설 및 농산물산지유통센터 등을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 구축을 통한 공공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창출해 행정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등 행정에 경영마인드 도입으로 경쟁력 있는 자치단체로 탈바꿈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
한편, 군은 지난 7월 지방공기업 설립을 위한 검토 및 기본계획을 수립, 8월 T/F팀 구성과 지방공기업 설립 추진을 위한 세부계획을 수립, 추진 중에 있으며, 11월 중 양평군 지방공기업 설립 심의위원회를 구성, 연구결과를 기초로 공사설립 여부를 심의하고 최종 결정할 방침이다.
/정영인기자
양평군의 지방공기업 설립이 가시화 되고 있다.
양평군은 22일 별관4층 소회의실에서 김선교 양평군수를 비롯한 군 관계자, 용역 기관인 한국산업관계연구원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양평지방공사(가칭)설립에 따른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한국산업관계연구원은 이날 양평군 지방공기업 설립 타당성 검토 연구용역보고서를 통해 “사업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가장 용이한 지방공사형(농산물유통사업+시설관리사업)으로 선정하고 시설관리사업은 향후 수익분석을 통해 단계별로 공사에 편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또한 “적정한 운영조직은 지방공기업 설립·운영지침(행정자치부)을 기준으로 해야 한다”며 “기능이 유사한 부서의 중복을 지양하고 지원부서의 최소화와 현장 사업부서의 활성화에 주안점을 둔 팀(Team)제 운영 등 경영관리본부, 유통사업본부, 시설관리본부 운영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더욱이 “공기업 설립을 통한 업무의 위탁이 행정규모와 영향력의 축소로 부정적 의견이 있을 수 있다”며 “하지만 업무의 민간위탁을 통한 행정조직의 축소는 무한경쟁시대를 살아가는 현실적 요청이며 재정자립도 제고를 위한 선결과제”라고 강조했다.
이에 김선교 양평군수는 “효율적인 경영을 통해 공익성과 수익성을 조화시킬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인 경영모델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경험과 능력이 있는 CEO 확보를 통해 책임경영체제를 확립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며 “사장경영계약제를 통해 매년 경영실적을 평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양평지방공사(가칭)설립은 현재 군 직영의 문화, 복지, 관광시설 및 농산물산지유통센터 등을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 구축을 통한 공공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창출해 행정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등 행정에 경영마인드 도입으로 경쟁력 있는 자치단체로 탈바꿈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
한편, 군은 지난 7월 지방공기업 설립을 위한 검토 및 기본계획을 수립, 8월 T/F팀 구성과 지방공기업 설립 추진을 위한 세부계획을 수립, 추진 중에 있으며, 11월 중 양평군 지방공기업 설립 심의위원회를 구성, 연구결과를 기초로 공사설립 여부를 심의하고 최종 결정할 방침이다.
/정영인기자
YPN뉴스 (ypnnews@naver.com)
- 이전글정병국 의원 등, 농특 파행운영 관련 교육부총리 항의방문 07.11.22
- 다음글고3 수험생의 물품 훔치기, 과연 관행인가? 07.11.22
![]() |
댓글목록
나원참!님의 댓글
나원참! 작성일양평지방공사?
속된말로 간이 배밖으로 나왔네!
일부 양평특성도 모르는 듣도보지도못한 인물과 단체장을 앞세워
심의를하고 또는 전관예우 차원에서 자리메김이나하고ㅊㅊㅊ
차라리 지탄대상임을 감수하며 솔직한 표현과 논리력을 피력한
의정심의위원회 모 단체장을 참석시키던지, 참으로
"쇼를하면 ... 모 광고 페러디보다 유치하네....
경영인님의 댓글
경영인 작성일흔히 사업하는 사람들이 무슨일 하냐는 질문을 받으면 겸손하게 조그만구멍가게 하나 합니다라고 대답하시는분들이 많읍니다...
양평지방공사라하면 정부에 있는 한국00공사 한국00공사같은 공기업을 축소한것으로 이해해도 되겠읍니까...대한민국 공영기업은 잘 아시다시피 뱃장장사 공권력이 동원된 안전된 사업으로 얻어진 이익으로보너스 1500%에 해외연수한다고 학교는 등교않고 관광지로 골프장으로 1달씩 다니는사람들 그것도 모자라 법인카드 쓰고 환불받아 쓰고 하는 볼성사나운 무슨공사 사장님들의 행태를 보여주는 그런 기업을 말하나요. 국회의원등 낙선되면 그자리에 수장으로 가는것과 나를 위해 도와줬던 측근들이 가서 막대한 자금 챙기고 놀고 흥청망청되는 그런 공기업이라면 절대 반대합니다.삼성등 대기업에서 퇴직한분들처럼 성공한 기업에 기여를하고 기업을 사업을 할수 있는CEO같은분들로 구성된다면 동의하려고, 이해하려고 노력해보겠지만 데모 시위를 해서라도 도시락 싸가지고라도 막아야 할일입니다.발상자체와 변화를 꾀하고자 하는 의도는 좋읍니다만 실패한 공기업의 모양을 닮아가야할 필요가 있는지 의문입니다...
의적!님의 댓글
의적! 작성일그야말로 어불성설의 이야기군요!
과연 유통사업관리,시설관리 파트가 양평의 현실에 맞는다고 보는지?
기껏해야 적자로 파행운영되는 농산물 유통센타, 일개 계장급의 충성맨이 사장 노릇하고 전횡하는 수영장.근근히 민간단체의 의지로 그나마 유지되는 청소년센타,조기축구회가 성실히 관리하는 12개읍면 축구장까지 빼앗으려 하십니까?
이런 사례들이 무엇을 말해주고 있는지 군수님은 과연 아십니까?
타 시군의 시설관리공단의 적자운영에,선거꾼의 특혜에 대한 예를 조사 보고받으셨는지요?
절대로 눈가리고 아웅하지마십시요.
이번 공사설립을 기획한 모과장님을 비롯한 t/f 팀은 각성하시지요.
그리고 요즘 계속 위원회 명분으로,최고결정권자라는 명분으로 내부에서 졸속 결정을 하고있는 아파트 인,허가 건이나 공사설립등 여러가지 사안은 반드시 주민공청회를 거친후에 결정바랍니다.
관철될때까지 분명히 지켜볼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