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협, 팔당 현안사항 연구결과 발표 및 토론회 개최
정치사회
페이지 정보
본문
![]() |
특별대책지역 수질보전정책협의회(이하 특수협, 공동위원장 강천심, 박호민)가 지난 27일 가평군 마이다스 호텔&리조트에서 ‘팔당지역 현안사항 연구결과 발표회 및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손수익 가평군 부군수와 환경부, 한강청, 7개 시·군 환경 관련 공무원, 특수협 주민대표단, 7개 시·군 주민 등 150여명이 참석, 팔당 현안과 비점오염원 관리, 수계기금에 대해 토론했다.
특수협은 이날 토론회에서 ‘팔당지역 7개 시·군 비점오염저감시설 현황조사를 통한 정책적 개선방안 연구사업’과 ‘지역발전을 위한 한강수계 상수원관리지역 주민지원 사업 개선방안 연구사업’의 결과를 보고하고 이를 팔당유역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또한 환경부에서는 ‘2018년 물관리 정책 추진방향’에 대해 발표했으며, 환경부의 통합 물관리 정책방향이 팔당유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이날 토론회는 특수협 이석호 박사가 좌장을 맡은 가운데 김인구 가평군 주민대표와 조준식 경기도 수질정책과장, 왕현주 한강유역환경청 주민지원사업팀장, 노광일 한강유역환경청 비점오염팀장이 패널로 참여했다.
특수협은 이날 지난 2013년도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 의무제 시행 후 매년 이행평가 결과 BOD 기준 전체 오염물질 배출량 중 비점오염원이 차지하는 비중이 87%로 나타나 향후 안정적인 팔당 상수원의 수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비점오염원의 관리가 중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또한 주민지원 사업이 수요자 중심의 사업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제도개선 방안 및 정부-주민간의 갈등 관리 방안 마련과 조성된 지 20여 년이 지난 수계기금에 대한 지역주민과 관리청의 입장 차이가 큰 만큼 주민지원사업 제도를 바라보는 시각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함께 제시했다.
패널로 참석한 김인구 가평군 주민대표는 “지자체들이 효율적으로 비점오염원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관리청에서 비점오염저감 시설의 설치비 및 운영비 지원이 선행돼야 한다”며 환경부와 한강청의 적극적인 검토를 요청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는 환경관련 공무원들과 7개 시·군 지역주민이 참석해 열띤 논의가 진행됐으며, 특수협 주민대표단은 향후 비점오염저감시설 관리를 위한 재원확보와 한강수계관리기금의 재검토 등을 촉구했다.
/정영인기자
![]() |
YPN뉴스 (ypnnews@naver.com)
- 이전글양평상인회, 롯데마트 입점 승인절차 늦춰 달라 18.03.02
- 다음글여주시, 성범죄 엄중 대응··미투(Me Too) 게시판 운영 18.02.28
![]()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