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기고> 노인요양병원 안전관리, “소방과 병원 측이 함께 고민해야 할 때”
페이지 정보
본문
신민철 양평소방서장
![]() |
이 같은 세태를 반영해 노인요양병원과 같은 보호시설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지만 이들 시설의 화재 안전관리 측면은 우리의 기대를 미치지 못하는 것 역시 현실이다.
또 잊을만하면 터지는 요양병원 화재를 보면 화재 진압측면의 대응보다 요양병원의 특성상 화재예방이 더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지적을 누구도 외면하거나 피할 수 없을 것이다.
지난 2014년 5월28일 새벽에 발생한 장성요양병원 화재사고는 21명의 소중한 생명이 사망하고 8명이 부상을 당한 대형 재난사고로 남게 됐다.
30여분 만에 진화됐는데도 인명피해가 컷 던 것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대부분이고 유독가스가 많이 발생하는 가구가 많다는 점과 야간당직자 3명만 근무해 초기 대응에 실패했다는 점이 원인으로 지목돼 시사하는 바가 크다.
초기대응 실패는 대량의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야기하기만큼 이런 측면에서 본다면 요양병원 운영자 및 종사자들의 안전의식이 대형재난을 막는 키워드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화재 초기 발견자는 요양병원 관계자들이고 초기대응 또한 관계자들이 몫이기 때문에 화재진압 및 인명대피 활동에 예방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자면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대피가 용의한 피난층에 배치하고 야간당직자를 남성 직원으로 배치하는 등의 실질적 대응 방안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 모든 당직자들이 소화기 사용법 및 옥내소화전 사용법과 인명대피 계획을 완전히 숙지해야 한다. 사람이 패닉에 빠지면 잘 아는 것도 생각나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응급상활 발생 시 “119 전화번호가 뭐야?”라고 묻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울러 시내 보다 외각에 위치해 119 안전센터와 원거리에 있는 경우가 많아 지역 의용소방대를 지정해 운영한다면 유사시 신속한 출동과 대응을 기대 할 수 있다.
또 노인요양병원 현황관리 또한 중요하며 유관기관 합동점검 등도 정례화해야 할 것이다.
양평소방서는 관내 요양병원 37곳을 대상으로 매주 1개소씩 대피에 중점을 둔 합동훈련과 관계자 안전교육을 통해 도출된 문제점들을 논의하고, 그 외 159개 대상은 주 1회 이상 순찰을 강화하고 있다.
전국에 노인요양병원은 1,410여 곳. 이제는 노인요양병원의 안전을 위해 유관기관뿐만 아니라 병원 관계자들의 노력 또한 간과해서는 안 될 아주 중요한 소방안전관리 방안의 한축이 되어야 할 때다.
YPN뉴스 (ypnnews@naver.com)
- 이전글함상수 용문면 바르게살기 위원장, 경기도 회원대회서 금장상 수상 16.11.04
- 다음글나눔으로 행복을 이어가는 이웃들 16.11.03
![]() |
댓글목록
무분별한 광고 및 악성댓글을 차단하기위한 방침이오니 양해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