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안전상식)가을은 겨울 대비하는 차량 관리의 계절
경제
페이지 정보
본문
- 블루핸즈 양평공업사 제공
여름이 지난 가을은 특별한 차량 관리가 필요한 계절은 아니지만 여름 뒷정리와 겨울철을 미리미리 대비해야하는 시기다.
최근 들어 늦은 가을장마가 이어진데다 태풍이 북상을 준비하고 있어 습한 기운이 사라지지 않아 차량 부식 등에 각별한 신경을 써야한다.
우선 여름철 바닷가로 휴가를 다녀왔다면 염분이 자동차 하부 등에 묻어 있을 수 있어 부식 방지를 위해 꼼꼼한 세차가 필요하다.
봄과 여름철에 사용이 적었던 히터도 필터의 상태를 미리 점검하고, 곰팡이 냄새가 심한 경우 교체해 두는 편이 좋다.
또 차량에 쌓인 낙엽을 치우지 않고, 그대로 주행할 경우 차량 공기 통풍구와 라디에이터 그릴 등 곳곳에 들어갈 수도 있는데 앞 유리와 본넷트가 만나는 카울에 낙엽이 들어가 막히게 된다면 냉각 기능에 문제가 생겨 차량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낙엽이 배기구를 막게 되면 열기가 제대로 배출되지 않아 엔진이 과열되고, 마른 낙엽에 불이 붙어 화재 사고로도 이어질 수 있다. 낙엽이 자동차 표면에 붙어 진액을 묻히는데 진액을 제거할 경우 알코올이나 식초로 닦아내면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낙엽의 산성 기질 때문에 도장 면을 변색 시킬 수 있으니 앞서 말한 이유를 들어 낙엽은 바로바로 제거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가을은 밤과 낮의 온도차가 심해 안개가 자주 낄 수 있어 혹시나 라이트가 약하다고 생각되면 가까운 센터를 방문해 점검하거나 교체해 두는 것도 필요하다.
가을철 안개등 점검은 필수다. 안개등은 안개 속 시야 확보를 도와주고, 상대 운전자에게 나의 위치를 알려주는 중요한 부품이기 때문이다. 일반 전조등은 안개 속에서 반사돼 시야 확보가 어려운 반면 안개등은 시야 확보는 물론 상대 운전자에게 내 존재를 알려 방어 운전이 가능하다.
일반 승용차 안개등은 4~50,000km 혹은 2년 이상 사용하면 색상이 변질되고, 조명도가 약해질 수 있어 이럴 경우 전구만 교체하는 것이 좋다.
또한 장마 때 사용이 많았던 와이퍼도 미리 점검해 교체해 주는편이 좋다. 이는 가을비와 안개 등으로 시야 확보가 어려운 날들이 많기 때문이다. 와이퍼는 보통 6개월마다 고무 블레이드를 교체하는 것을 권장한다.
워셔액이 부족하다면 앞유리에 흠집을 낼 수도 있기 때문에 함께 보충하는 것이 좋다.
가을부터는 차량 외부와 내부의 온도차가 커져 차창에 김서림이 쉽게 생길 수 있는데 시야 확보를 위해 공조기를 켜두면 제거 된다. 자동차 후면의 김서림은 열선을 통해 제거하면 된다.
공조기와 열선을 작동한 후 5분이 지난 후에 차창에 입김을 불었을 때 바로 사라진다면 정상이다.
끝으로 타이어 점검도 필요하다. 가을은 여름보다 기온이 낮아지면서 타이어 내부 압력에 변화가 생기고, 팽창과 수축을 반복한 공기압은 적정 수준 이하로 떨어질 수 있다.
공기압이 떨어지면 타이어의 제동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가을철에도 꼭 점검해줘야 한다. 계기판에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이 떴다면 바로 센터나 정비소에 들러 공기압을 맞추면 된다.
블루핸즈 김윤식 대표는 "가을은 덥고 습한 여름을 지나 선선한 날씨가 이어져 쾌적한 것으로 인식해 자칫 차량 관리에 소홀해 질 수 있다"며 "낙엽과 안개에 각별히 주의하고 겨울철을 대비해 히터와 타이어 공기압 등을 미리 점검해 두길 바란다"고 말했다.
/정영인기자
최근 들어 늦은 가을장마가 이어진데다 태풍이 북상을 준비하고 있어 습한 기운이 사라지지 않아 차량 부식 등에 각별한 신경을 써야한다.
우선 여름철 바닷가로 휴가를 다녀왔다면 염분이 자동차 하부 등에 묻어 있을 수 있어 부식 방지를 위해 꼼꼼한 세차가 필요하다.
봄과 여름철에 사용이 적었던 히터도 필터의 상태를 미리 점검하고, 곰팡이 냄새가 심한 경우 교체해 두는 편이 좋다.
또 차량에 쌓인 낙엽을 치우지 않고, 그대로 주행할 경우 차량 공기 통풍구와 라디에이터 그릴 등 곳곳에 들어갈 수도 있는데 앞 유리와 본넷트가 만나는 카울에 낙엽이 들어가 막히게 된다면 냉각 기능에 문제가 생겨 차량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낙엽이 배기구를 막게 되면 열기가 제대로 배출되지 않아 엔진이 과열되고, 마른 낙엽에 불이 붙어 화재 사고로도 이어질 수 있다. 낙엽이 자동차 표면에 붙어 진액을 묻히는데 진액을 제거할 경우 알코올이나 식초로 닦아내면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낙엽의 산성 기질 때문에 도장 면을 변색 시킬 수 있으니 앞서 말한 이유를 들어 낙엽은 바로바로 제거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가을은 밤과 낮의 온도차가 심해 안개가 자주 낄 수 있어 혹시나 라이트가 약하다고 생각되면 가까운 센터를 방문해 점검하거나 교체해 두는 것도 필요하다.
가을철 안개등 점검은 필수다. 안개등은 안개 속 시야 확보를 도와주고, 상대 운전자에게 나의 위치를 알려주는 중요한 부품이기 때문이다. 일반 전조등은 안개 속에서 반사돼 시야 확보가 어려운 반면 안개등은 시야 확보는 물론 상대 운전자에게 내 존재를 알려 방어 운전이 가능하다.
일반 승용차 안개등은 4~50,000km 혹은 2년 이상 사용하면 색상이 변질되고, 조명도가 약해질 수 있어 이럴 경우 전구만 교체하는 것이 좋다.
또한 장마 때 사용이 많았던 와이퍼도 미리 점검해 교체해 주는편이 좋다. 이는 가을비와 안개 등으로 시야 확보가 어려운 날들이 많기 때문이다. 와이퍼는 보통 6개월마다 고무 블레이드를 교체하는 것을 권장한다.
워셔액이 부족하다면 앞유리에 흠집을 낼 수도 있기 때문에 함께 보충하는 것이 좋다.
가을부터는 차량 외부와 내부의 온도차가 커져 차창에 김서림이 쉽게 생길 수 있는데 시야 확보를 위해 공조기를 켜두면 제거 된다. 자동차 후면의 김서림은 열선을 통해 제거하면 된다.
공조기와 열선을 작동한 후 5분이 지난 후에 차창에 입김을 불었을 때 바로 사라진다면 정상이다.
끝으로 타이어 점검도 필요하다. 가을은 여름보다 기온이 낮아지면서 타이어 내부 압력에 변화가 생기고, 팽창과 수축을 반복한 공기압은 적정 수준 이하로 떨어질 수 있다.
공기압이 떨어지면 타이어의 제동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가을철에도 꼭 점검해줘야 한다. 계기판에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이 떴다면 바로 센터나 정비소에 들러 공기압을 맞추면 된다.
블루핸즈 김윤식 대표는 "가을은 덥고 습한 여름을 지나 선선한 날씨가 이어져 쾌적한 것으로 인식해 자칫 차량 관리에 소홀해 질 수 있다"며 "낙엽과 안개에 각별히 주의하고 겨울철을 대비해 히터와 타이어 공기압 등을 미리 점검해 두길 바란다"고 말했다.
/정영인기자
YPN뉴스 (ypnnews@naver.com)
- 이전글청운면 가현1리-㈜해나눔, 1사 1경로당 MOU 21.09.13
- 다음글강상면 세월리 달강마을, 행복농촌만들기 콘테스트 은상 21.09.10
![]() |
댓글목록
무분별한 광고 및 악성댓글을 차단하기위한 방침이오니 양해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