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울에도 식지 않는 뜨거운 감자, 여주 준설토
정치사회
페이지 정보
본문
![]() |
| <좌> 여주시의회 김영자의원 <우> 여주시 원경희 시장 |
찬바람이 매섭던 지난 11월 28일, 여주시의회 정례회의 석상에서 김영자시의원은 원경희시장을 정면조준해 다시 포문을 열었다. 물론 준설토문제를 뇌관으로 삼았다.
김영자시의원의 주장에는 새로운 내용이 거의 없었다. 간추리면 다음 3가지가 핵심이다.
1. 준설토 수의계약 대상자인 ‘특수임무 HID’는 수의계약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단체다.
2. 시장 주도의 특혜성 수의계약으로 국가와 여주시는 133여억원의 재정손실을 입었다.
3. 이와 관련된 시의회의 적법한 자료요청을 집행부가 전면거부하고 있다.
김영자시의원은 이미 지난 9월 11일 위 내용을 중심으로 원경희시장과 실무책임 공직자를 고소한 바 있다. 원경희시장이 김영자시의원을 허위사실유포와 명예훼손 등으로 고소한 지 47일이 지난 뒤이다.
시장의 고소사유를 간추리면 다음 3가지가 핵심이다.
1. 적법한 행정절차를 불법특혜사업으로 몰아 시정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
2. 10% 커미션 수수 등 전혀 근거 없는 비난을 소문으로 빙자해 공식발언
3. 누차에 걸쳐 정치공세 중단을 요청했으나, 오히려 허위주장내용을 인쇄물로 제작배포
어떤 이유든, 지자체의 수장과 의회의 의원이 맞고소를 하는 꼬락서니가 유쾌할 리 없다. 여주시민의 반응은 셋으로 나뉜다. ‘뭔가 있으니까 시의원이 저 난리’와 ‘진짜 시장이 해먹었으면 이 시국에 여태 멀쩡하겠냐’로 갈린다.
이 두 가지 반응에 속하는 여주시민보다 ‘시장이든 시의원이든 작작 좀 떠들고 그만 좀 싸워라’로 반응하는 여주시민이 훨씬 많아보이는 건 체감통계이고. 준설토 수의계약을 둘러싼 논란이 본격화된 건 지난 6월 5일이다. 이제 6개월이 지났다. 의혹제기와 해명은 또 다른 의혹을 낳고 또 다른 해명을 낳았다.
말싸움은 법정다툼으로 비화되었다. 그런데, 실체적 진실은 아직도 남한강 물안개처럼 흐릿하다.
실체적 진실이 무엇인지 이젠 밝혀져야 한다.
시장과 시의원, 둘 중 하나는 법적책임과 여주시민의 돌팔매를 받아야 한다. 그런데 쌍방고소를 접수한 여주지청은 아직도 참고인 조사 중이다. 법적절차가 그러니 어쩔 수 없는 일이긴 하지만, 결과를 기다리는 여주시민 입장에선 지겹기 짝이 없는 일이다.
언제까지 시장과 시의원이 앵무새처럼 같은 말로 서로 싸우는 모습을 지켜봐야 하는가.
/안병욱 ypnnews@naver.com
YPN뉴스 (ypnnews@naver.com)
- 이전글두산 위브 지역주택조합아파트 사업승인 초읽기 17.12.06
- 다음글‘여주시민의 입’, 여주시의원 의회발언 지상중계 17.12.04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