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채무액 없다는 여주시, 이것이 여주시의 자랑거리인가
정치사회
페이지 정보
본문
여주시가 최근 4년 연속 지방채무액 없는 건전한 재정을 펼치고 있다고 홍보했다.
여주시는 과거 상하수도 관련 기반시설과 구제역 발생에 따른 가축매몰지 수도시설 확충 등 158억원의 지방채를 발행한 바 있지만 긴축재정을 통해 지난 2013년(김춘석 전임 시장이 임기를 한해 앞둔 해)에 전액 상환했다고 밝혔다.
또한 30% 수준을 밑도는 재정 여건을 고려해 자체재원과 이전재원의 효율적인 편성과 운영에 나서고 있으며, 복지서비스 증대와 도시계획사업, 역세권 개발 등 재정수요 압박에도 불구하고 채무액 없는 성과를 달성했다고 자평했다.
하지만 지방채 발행은 동전의 양면과 같다. 지방채가 과도한 상황이 도래하면 문제가 되겠지만 도시기반시설과 상하수도 확충, 지역경제 활성화 등 현안 사업 해결을 위한 지방채 발행은 예산의 탄력적 운영에 해당된다는 지적이다.
인근 양평군 역시 6천억 원대의 예산을 운영하며 150억원 규모의 지방채를 쓰고 있다.
지방채는 2% 대의 저리자금으로 분할 상환이 가능한데다 사업 추진에 따른 지가 및 물가 상승과 보상비용 등을 대비해 볼 때 효과가 크다고 보고 있다.
또 지자체마다 별도의 가용재원이 있는 만큼 지방채를 갚으려고 한다면 언제든 갚을 수 있어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 양평군 예산담당자의 입장이다.
정부 역시 지자체 예산의 20%를 지방채를 발행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으로 설정하고 있어 지방 채무액이 없다는 뜻은 여주시가 세무법인 세무사 출신의 시장에 의해 경직된 예산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시민 원 모씨는 “건전한 예산운영을 했다는 것을 비난할 사람은 없다. 하지만 아직도 해결해야 할 일들이 산적한데 빚이 없다고 자화자찬하는 것은 원 시장이 4년간 굵직한 현안 해결에 손을 놓았다는 이야기와 다를 게 없다”며 꼬집었다.
그는 또 “재선이나 3선이 차기 시장에게 물려주는 시점도 아닌데 초선 시장이 재임기간 내내 지방채가 없었다고 홍보하는 것은 예산의 성격을 잘 모르는데서 나온 것 아니겠냐”며 “무엇이 적정한 예산 운영인지 인근 시군을 통해 공부부터 해 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지적한 데로 지방채 발행은 동전의 양면과 같다. 지방재정의 운영은 지자체 스스로 판단하기 마련이지만 빚이 없다고 자랑하는 여주시에 행태는 ‘회계연도에 맞게 예산을 집행해야 맞는 것’으로 알 것 같은 초선 시장의 약점(?)을 감추려는 의도로 비춰 씁쓸하기만 하다.
/정영인기자
여주시는 과거 상하수도 관련 기반시설과 구제역 발생에 따른 가축매몰지 수도시설 확충 등 158억원의 지방채를 발행한 바 있지만 긴축재정을 통해 지난 2013년(김춘석 전임 시장이 임기를 한해 앞둔 해)에 전액 상환했다고 밝혔다.
또한 30% 수준을 밑도는 재정 여건을 고려해 자체재원과 이전재원의 효율적인 편성과 운영에 나서고 있으며, 복지서비스 증대와 도시계획사업, 역세권 개발 등 재정수요 압박에도 불구하고 채무액 없는 성과를 달성했다고 자평했다.
하지만 지방채 발행은 동전의 양면과 같다. 지방채가 과도한 상황이 도래하면 문제가 되겠지만 도시기반시설과 상하수도 확충, 지역경제 활성화 등 현안 사업 해결을 위한 지방채 발행은 예산의 탄력적 운영에 해당된다는 지적이다.
인근 양평군 역시 6천억 원대의 예산을 운영하며 150억원 규모의 지방채를 쓰고 있다.
지방채는 2% 대의 저리자금으로 분할 상환이 가능한데다 사업 추진에 따른 지가 및 물가 상승과 보상비용 등을 대비해 볼 때 효과가 크다고 보고 있다.
또 지자체마다 별도의 가용재원이 있는 만큼 지방채를 갚으려고 한다면 언제든 갚을 수 있어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 양평군 예산담당자의 입장이다.
정부 역시 지자체 예산의 20%를 지방채를 발행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으로 설정하고 있어 지방 채무액이 없다는 뜻은 여주시가 세무법인 세무사 출신의 시장에 의해 경직된 예산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시민 원 모씨는 “건전한 예산운영을 했다는 것을 비난할 사람은 없다. 하지만 아직도 해결해야 할 일들이 산적한데 빚이 없다고 자화자찬하는 것은 원 시장이 4년간 굵직한 현안 해결에 손을 놓았다는 이야기와 다를 게 없다”며 꼬집었다.
그는 또 “재선이나 3선이 차기 시장에게 물려주는 시점도 아닌데 초선 시장이 재임기간 내내 지방채가 없었다고 홍보하는 것은 예산의 성격을 잘 모르는데서 나온 것 아니겠냐”며 “무엇이 적정한 예산 운영인지 인근 시군을 통해 공부부터 해 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지적한 데로 지방채 발행은 동전의 양면과 같다. 지방재정의 운영은 지자체 스스로 판단하기 마련이지만 빚이 없다고 자랑하는 여주시에 행태는 ‘회계연도에 맞게 예산을 집행해야 맞는 것’으로 알 것 같은 초선 시장의 약점(?)을 감추려는 의도로 비춰 씁쓸하기만 하다.
/정영인기자
YPN뉴스 (ypnnews@naver.com)
- 이전글오는 3일부터 제2회 양평친환경농축산물대축제 3일간 개최 17.10.31
- 다음글양평군, 예산 규모 6천억원대 진입 17.10.31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